맥을 사용 하면서 어쩔수 없이 윈도우 환경이 필요 한 경우 패러럴즈 등과 같은 가상 머신 이나 원격 접속 등 다양한 대안들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부트캠프도 많이 이용 했는데 현재 실리콘 맥에서는 Windows 용이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Parallels 또한 M1 맥에서는 여전히 불완전한 모습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Wol 기능과 조합해서 원격을 주로 사용 합니다.
원격 또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런 서비스들 중 윈도우 자체적으로 제공 하고 있는 RDP 를 통한 접속 및 관리를 도와주는 Microsoft Remote Desktop 을 사용 해 맥에서 윈도우 OS 에 접속 하는 방법을 알아 볼까 합니다.
해당 포스트는 충분한 테스트 및 검증 후 작성 되었지만 이것이 해당 내용의 정확성이나 신뢰성에 대해 보증을 하는 것은 아니니 단순 하게 참고용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튜토리얼 환경 : 맥 OS-X Monterey, 윈도우 11 , Microsoft Remote Desktop
선행 사항
윈도우에서 제공 하는 기본 적인 원격데스크톱을 사용 하여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미리 체크 해야 하는 내용들을 우선 정리 합니다.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정보도 있고 환경에 따라 필요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 원격을 접속 하기 위해서는 대상 PC 의 원격 데스크톱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 방법을 참고하세요.
윈도우 계정 정보 확인
원격 접속 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로그인을 위해 계정 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평소에 접속 시 사용 하는 부분이니 자세한 내용은 다루지 않습니다.
- 로컬 계정을 사용 하는 경우 아래 정보를 확인 합니다.
- 로컬 사용자 이름
- PC 로그인 시 사용하는 비밀번호(설정 시)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사용 하는 경우 아래 정보를 확인 합니다.
- 마이크로소프 계정의 이메일 주소
- PC 로그인 시 사용하는 비밀번호(설정 시)
컴퓨터 이름 확인
- 일반적으로 아이피로 접속 하지만 PC 이름이 필요 할 수도 있으니 미리 확인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컴퓨터 이름 확인 방법을 참고하세요.
사용자 이름 확인
- 컴퓨터 이름 이외에도 사용자 이름이 존재 합니다. 해당 정보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사용자 이름 확인 방법을 참고하세요.
아이피 주소 확인
- 원격으로 접속 할 대상 PC 의 아이피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외부에서 접속 시 공인(외부) 아이피 정보가 필요 합니다.
- 내부에서 접속 시 사설(내부) 아이피 정보가 필요 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치
앱스토어에 등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검색 및 다운로드

- AppStore
를 실행 후 검색 필드에
remote
등으로 입력해 찾아 줍니다. - 검색 결과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찾아 받기 버튼을 이용해 다운로드 합니다.
- 다운로드가 완료 되면 버튼이 열기 로 변경 되는데 다시 한 번 눌러 마루리 설치를 진행 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치
Microsoft Remote Desktop 를 내려 받으면 설치는 이미 되어 있지만 추가적으로 권한등을 허용 하는 과정이 필요 합니다.

- 사용자 경험 과 관련 된 안내가 팝업 되는데 내용을 확인 후 Yes 를 눌러 허용 하거나 Not now 로 다음 단계로 진행 합니다. 설명에서는 허용 하지 않고 진행 합니다.

- 맥의 마이크와 카메라 권한을 필요로 한다는 내용의 팝업이 이어집니다. Continue 버튼을 클릭 해 단계를 진행 합니다.

- 이어서 마이크 와 카메라 접근 허용 팝업이 생성 되는데 모두 확인 을 눌러 주면 설치가 마무리 됩니다.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정 및 접속
'Microsoft Remote Desktop' 설치 후 실행 하면 바로 설정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기본 적인 내용만 알고 있다면 어렵지 않게 접속이 가능 합니다.
원격 PC 추가

- Microsoft Remote Desktop 를 설치 후 실행 하면 이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 중앙의 Add PC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 합니다. 상단의 + 버튼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 'Add PC' 패널이 활성화 되는데 우선 PC name 필드에 원격으로 접속 할 Windows PC 의 아이피 정보 또는 컴퓨터 이름(호스트 네임) 을 입력 합니다. 설명에서는 아이피로 진행 합니다.

- User Account 필드를 마우스로 클릭 하면 두가지 선택지가 나오는데 선택 후 Add 버튼으로 단계를 진행 합니다. 설명에서는 Add User Account 로 설정 합니다.
- Ask when required: 원격 접속 시 마다 매번 계정 정보를 입력 합니다.
- Add User Account: 계정 정보를 등록 해 추가 입력 없이 사용 합니다.

- Add User Account 선택 시 이와 같이 계정 정보 등록을 위한 패널이 생성 됩니다. 이곳에 선행 사항에서 확인 한 계정 정보를 상황에 맞게 입력 해 준 다음 Add 버튼으로 정보를 추가 합니다.

- 그 외 추가적으로 입력 할 내용이 있다면 확인 후 Add 버튼을 마우스로 클릭 해 최종적으로 정보를 적용 합니다.
- Friedndly name: 추가 되는 PC 의 구분을 위해 별도의 이름(별칭)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 필요 한 경우 수정 합니다.
- 접속 시에 적용 되는 해상도 등도 모두 사전 설정이 가능 하니 필요한 경우 탭을 전환 하면서 하나 씩 확인 합니다.
원격 접속
이제 등록 한 컴퓨터에 접속이 가능 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 정상적으로 Microsoft Remote Desktop 에 접속 해야 할 윈도우 PC 가 추가 되었습니다.
- 추가 된 PC 를 마우스로 두번 클릭 해 접속을 시도 합니다. 만약 Ask when required 를 선택 해 계정 정보를 미리 등록 하지 않았다면 이 단계에서 입력을 해야 합니다.

- 인증서(Certificate)가 존재 하지 않는 다는 경고가 생성 되는데 Self-signed Certificate (스스로 서명) 방식의 인증서를 사용 하기 때문에 발생 하는 안내이니 무시하고 Continue 버튼을 눌러 단계를 진행 합니다.

-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맥에서 윈도우에 접속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화면 비율 조정(선택사항)
최초 접속 시 해상도 차이로 인해 화면의 일부가 잘리는 등 보기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상도 옵션을 변경 해 주면 됩니다.

- Microsoft Remote Desktop 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상단 메뉴막대의 Window (1) 탭을 마우스로 클릭 해 확장 합니다.
- 메뉴에서 Fit to Window (2) 를 선택 하면 원격 접속 컴퓨터의 화면이 현재 창 크기에 자동으로 맞춰 지게 됩니다.
마무리
이렇게 맥 OS-X 에 Microsoft Remote Desktop 를 설치 해 윈도우 컴퓨터로 원격 접속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설명을 자세하게 정리하다 보니 꽤 내용이 길어진 듯 합니다. 실제 설치 후 원격 접속 까지 과정이 수분 내로 완료 되니 어려운 작업은 아닙니다.
원격이 필요한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적으로 지원 하고 무료이기도 한 Microsoft Remote Desktop 를 이용해 윈도우를 제어 해 보시길 바랍니다.
정리 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피드뱃 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