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를 특별한 수정 없이 디폴트로 사용 중이라면 컴퓨터, 스마트폰 등이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 시 자동으로 아이피가 할당(DHCP) 되어집니다.
하지만 사용하는 기기 또는 공유기가 재부팅 되면 아이피가 랜덤하게 변경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아이피의 포트를 개방(포트 포워딩) 해서 사용 중인 특정 기기 들은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
이 경우 특정 기기에서 사용 되는 아이피를 고정 해준 다면 위와 같은 변동이 발생 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점유율이 높은 아이피 타임 공유기를 기준으로 내부 아이피 주소 고정해서 사용 하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튜토리얼 환경 : 윈도우10.
1. 내부 아이피 주소 고정 하는 방법
사용 하는 기기에는 모두 아이피가 자동으로 할당 되어 진 상태 일 것 입니다.
- 이미 할당 된 아이피를 그대로 고정 하거나
- 할당 된 아이피가 아닌 다른 아이피로 변경 해서 고정 하는 방법
이렇게두 가지 방식의 적용 순서를 안내 하겠습니다.
1.1. 현재 아이피로 고정
현재 기기에 이미 할당 되어진 아이피를 변경 하지 않고 그대로 고정 하는 방법 입니다.

- 아래의 순서로 아이피 타임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 해 줍니다.
- 브라우저를 열어 주소창에 http://192.168.0.1/ 입력 후 접속 해 줍니다.
- '로그인 이름' 과 '로그인 암호' 를 입력 후 하단 로그인 버튼을 클릭 해 줍니다. 로그인 이름과 암호를 변경 한적이 없다면 모두
admin
이라고 입력 하면 됩니다.
- 참고: 공유기 접속 방법에 대해 좀 더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 합니다.

- 공유기 접속 후 관리도구 로 이동 해 줍니다.

- 왼쪽 사이드 박스의 메뉴 트리에서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 의 순서로 이동 해 줍니다.

- 오른쪽 세부 설정의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 에서 고정 할 아이피(기기) 에 체크 (1) 를 해 줍니다.
- 바로 위 등록 (2) 버튼을 눌러 주면 선택한 IP 정보가 '등록된 주소 관리' (3) 항목으로 이동 됩니다.
- 다수의 기기를 고정 하는 경우 위 절차를 반복 해주면 됩니다.

- 등록을 하고 난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주면 현재 할당 된 아이피로 고정이 됩니다.
1.2. 다른 아이피로 고정
현재 기기에 이미 할당 되어진 아이피를 사용 하지 않고 다른 아이피로 변경 해서 고정 하는 방법 입니다.

- 위에서 작업 했던 고급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 의 순서로 동일 하게 이동 해 줍니다.
- 오른쪽 세부 설정 의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 에서 아이피를 변경 후 고정 할 기기를 클릭 하여 선택 (1) 를 해 줍니다.
- 설정 패널 가장 하단 '수동 주소 입력' 란에 변경 하고 싶은 아이피 정보 (2) 를 입력 해 줍니다.
- 입력 후 오른쪽 하단 코너 수동 등록 (3) 버튼을 눌러 주면 수정 한 IP 정보가 '등록된 주소 관리' 항목으로 이동 됩니다.
- 설정 완료 후 적용 버튼을 눌러 주면 현재 할당 된 아이피로 고정이 됩니다.
- 이 와 같이 현재 적용 된 아이피가 아닌 다른 아이피로 변경 해서 고정을 하는 경우 아이피를 갱신해 주어야 바로 반영이 됩니다.
2. 마무리
이렇게 아이피 타임 공유기를 기준으로 내부 아이피 주소를 고정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아이피가 변경 되어 불편 한 경우 위 내용을 참고 하여 내부 아이피를 고정 해서 사용 해 보시길 바랍니다.
끝.
찾던 정보였는데 감사합니다 덕분에 아주 쉽게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사이트 방문과 피드백 댓글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